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협력강화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 작성일2023.09.02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무형유산의 지속가능한 전승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서 2003년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은 무형유산을 직접 연행하고 지켜 나가는 공동체의 인식과 역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들과 함께 호흡하며 상호작용하는 비정부기구의 역할도 집중 조명되고 있습니다. 협약은 다양한 무형유산 종목을 정의하는데 공동체의 주체적인 참여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이를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전문성을 쌓아온 비정부기구를 자문기구로 인가해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비정부기구는 정부의 손길이 미처 닿지 않는 현장에서 공동체와 직접 소통하고, 나아가 공동체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등 공동체와 정부 사이를 잇는 중요한 매개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정부기구와의 네트워크는 공동체의 참여를 강화하고, 공동체의 니즈를 반영한 무형유산 보호 계획 수립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공동체와 이들을 기반으로 하는 비정부기구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무형유산의 생명력 있는 전승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주요활동
  • 무형유산 종목 및 공동체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 무형유산 비정부기구 네트워크 구축
  • 무형유산 보호 비정보기구 활동 사례집 발간
사업대상
  • 무형유산 종목 공동체, 단체 및 관련 개인, 비정부기구 등
협력기관
  • ICH NGO 포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호이안문화유산관리보존센터, 충청남도 당진시, 전라북도 전주시, 유네스코뉴델리사무소, 유네스코아피아사무소, 방글라나탁닷컴, 태평양공동체(SPC) 등
사업성과
동아시아 줄다리기 보호 협력사업 (2013∼2021)
  • 2013년 동남아시아 전통 줄다리기 현황조사 보고서
  • 2013년 동아시아 전통 줄다리기의 다양성과 통유성 국제 심포지엄 (한국, 4월)
  • 2015년 아시아 줄다리기의 공유적 가치: 무형유산 공동체적 관점에서 국제 심포지엄 (한국, 4월)
  • 2016년 <유네스코가 전해주는 줄다리기 이야기> 발간
  • 2018년 리빙헤리티지 발간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 같은 종목, 다양한 접근>
  • 2019년 한-필리핀 전통 줄다리기 조사 및 교류사업 (필리핀, 8월)
  • 2020년 줄로 하나 되는 아시아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 유네스코 공동등재 5주년 기념행사 (온라인, 12월)
  • 2021년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아시아 전통 줄다리기 국제 심포지엄 (온라인, 4월)
  • 2021년 줄다리기 문화상자 개발 및 제작
아시아태평양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2014년부터 격년 개최)
  • 아시아태평양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2014년부터 격년 개최)
  • 2014년 아태지역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효율적 역할 (한국, 6월)
  • 2016년 무형유산 보호를 통한 지속가능 발전목표의 달성 (한국, 11월)
  • 2018년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무형유산 NGO의 역할 (베트남, 11월)
  • 2020년 위기의 시대, 무형유산과 회복탄력성 (온라인, 11월)
해양 무형유산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2018∼)
  • 2018년 선박, 항해 그리고 사람 (한국 서울, 9월 13일)
  • 2019년 해양 민간신앙과 의례 (베트남 호이안, 11월 21-22일)
  • 2020년 해양 무형유산: 아태지역의 지속가능한 생활과 생태계 구축 (온라인, 10월 29-30일)
  • 2021년 해안공동체의 식생활과 문화 (온라인, 10월 29일)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사진1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사진2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사진3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사진4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