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소식

전통지식, 자연과 인간에 관한 사유와 실천 - 2022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무형문화유산과 전통지식 -

  • 작성자장연석
  • 작성일2022.09.12
  • 분류무형유산 소식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경훈)이 주최하고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사무총장 김지성)가 주관하는 ‘2022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이 오는 9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는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의 주제는 ‘전통지식, 자연과 인간에 관한 사유와 실천’으로, 전 세계 12개국 30여 명의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전통지식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전통지식의 가치를 재탐색하는 시간을 가진다.

3일 동안 총 3세션으로 진행되는 본 포럼은 무형문화유산 분야 세계적인 석학인 호주국립대학교 로라 제인 스미스 교수와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의 기조 발제로 첫 문을 연다. 21일 1세션은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전통지식의 보호와 전승>을 주제로 전통지식의 보호와 전승을 위한 다양한 관점에 대해 다룬다.

22일에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명예교수인 왕한석 박사의 특별강연으로 포럼 2세션의 문을 연다. 2세션의 주제는 <전통지식과 지속가능한 물 관리>로, 일본의 전통 관개지식, 인도네시아 수박(Subak) 관개 시스템 등의 전통 관개 지식을 포함, 물 관리를 위한 페루 코롱고의 ‘물 판관’ 제도와 스리랑카의 물 관리 전통지식에 대해 소개한다.

마지막 날인 9월 23일 포럼 3세션 주제는 <전통지식으로서 전통의료의 이해와 발전방안>으로 무형유산의 입장에서 바라본 전통의료에 대해 이야기하며 사흘간의 여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주디스 파콰르 미국 시카고대학교 명예교수의 특별강연에 이어, 괌, 태국, 콜롬비아 그리고 베트남의 전통의료 및 관련 사례들을 무형유산적 관점에서 바라본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환경과 사회 발전 속 생존과 번영을 위해 인류는 환경에 대응하는 기술, 의료지식, 관습 그리고 생활양식에 관련한 지식과 지혜를 축적하고 체계화하여 세대를 통해 전승해왔다. 또한 인류의 삶 속 위기마다 전통 지식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대응 및 공동체의 사회적인 결속을 강화시켜 왔다. 전통지식은 제한된 자원을 최대한 활용, 생존하며 축적된 인류의 지적 산물이다. 그러나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과 급격한 세계화 및 도시화의 물결 속에서 전통지식의 가치가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다. ‘2022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에서는 무형유산의 관점에서 전통지식을 바라보며 그 가치와 그 중요성을 재조명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본 포럼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국립무형유산원,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그리고 전주 MBC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된다. 또한 온라인 메타버스 ZEP (https://zep.us/play/2mYqBe)을 통해서도 포럼이 생중계된다.

포럼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2022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 에 참가할 수 있다. 참가 접수는 포럼 포털사이트(https://ichworldforum.org/?lang=ko)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포럼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포럼 사무국(☎063-230-9745, 7)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