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소식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또 다른 얼굴들-한국과 아세안의 가면> 전시 개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또 다른 얼굴들-아세안의 가면> 전시 개최 포스터 © 부산 KF아세안문화원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또 다른 얼굴들-아세안의 가면> 전시 개최 포스터 © 부산 KF아세안문화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 산하기관인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사무총장 김지성, 이하 ‘아태센터’)는 KF아세안문화원(이사장 김기환)과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의 가면, 복식, 다중 매체(멀티미디어) 자료 200여 점을 공개하는 <또 다른 얼굴들-한국과 아세안의 가면>(4.2.6~7.23.) 특별전을 KF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에서 공동 개최하기로 하고, 4월 26일(수) 오후 4시에 개막식을 개최한다.

지난해 11월 <한국의 탈춤>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 소식과 최근 ‘부캐(부캐릭터)’, ‘아바타’ 등 가상현실 속 제2의 자아의 의미가 주목받는 흐름에 힘입어 인류문화유산인 가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춰 이번 전시회는 가면에 담긴 한국과 아세안 사람들의 흥미로운 정신문화를 총 5부에 걸쳐 소개한다.

먼저, ▲ 1부에서는 <가면의 유래>를 주제로, 재앙과 질병을 퇴치하고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주술적 목적의 가면, 놀이와 오락적 욕구에서 비롯된 공연용 가면들을 전시하고 그 기원을 소개한다. ▲ 2부 <신화적 재현>에서는 고대 설화를 각색한 아세안의 가면극을 선보인다. ▲ 3부 <대안의 현실>에서는 권선징악과 같은 도덕적 의미가 담긴 전통 가극으로서 가면에 버금가는 독특한 분장술을 활용한 베트남의 ‘뚜엉(핫보이)’을 만나볼 수 있다. ▲ 4부 <개성의 표현>에서는 가면을 활용한 지역 축제가 활성화되어 있는 필리핀 지역의 가면들과 가면의 현대적 의미를 고찰한 현대미술 작품이 공개된다. ▲ 마지막 5부에서는 지난해 11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탈춤>을 특별 조명한다.

이번 전시를 공동 기획한 아태센터의 김지성 사무총장은 “다양한 문화적 의미와 수공예 기술의 결합이 만들어낸 가면이라는 무형유산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한편, 이번 전시의 개막식은 4월 26일(수) KF아세안문화원의 <아세안 디지털문화체험존> 개막식과 공동으로 진행된다. 개막식 이튿날인 4월 27일(목)에는 한-아세안 교류·협력 관련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2023 한-아세안 유관기관 공공외교 워크숍>과 <제2차 국내 아세안 문화유산 유관기관 정보회의>가 부산 파크하얏트호텔에서 개최된다.

본 전시는 부산을 시작으로 오는 9월부터 안동, 서울 등지에서도 순회 개최되며 세계 각국의 미술관과 박물관의 소장품을 온라인으로 감상할 수 있는 ‘구글아트앤컬쳐’를 통해서도 공개될 예정이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또 다른 얼굴들-한국과 아세안의 가면> 전시 개최 사진1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또 다른 얼굴들-한국과 아세안의 가면> 전시 개최 사진2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또 다른 얼굴들-한국과 아세안의 가면> 전시 개최 사진3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또 다른 얼굴들-한국과 아세안의 가면> 전시 개최 사진4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