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소식

21세기 창의와 혁신의 가치, 무형문화유산에서 발견하다

2021 세계무형문화유산 포럼 홍보 배너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2021 세계무형문화유산 포럼 홍보 배너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종희)이 주최하고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사무총장 금기형)가 주관하는「2021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이 오는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3일간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올해로 다섯 번째를 맞는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은 ‘융합과 창의의 시대, 무형문화유산의 재발견’이라는 주제로 전 세계 10여 개국 20여 명의 전문가가 모여 무형문화유산의 창의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혁신과 가치 창출의 사례를 살펴보며 그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29일 첫날은 이리나 보코바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무형문화유산의 창의적 가치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해서 기조 발제를 한다. 이어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무형문화유산의 존재 의미와 그 가치에 대해 고찰할 필요를 제시한다. 기조 발제 후 이어지는 1세션에서는 문화의 창의성이 주목받는 창의 산업 시대에 무형문화유산의 현재를 짚어보고 사회‧문화적으로 직면하는 도전과제를 살펴 본다. 또한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 속에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은 어떤 형태로 변하고 있으며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도 살펴본다.



30일은 영국 켄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미국 예일대학교 산하 문화다양성 및 동질성을 데이터를 통해 연구하는 HRAF (Human Relations Area Files) 재단의 마이클 피셔 박사의 특별강연으로 포럼의 둘째 날을 연다. 이어지는 순서로는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혁신과 가치창출의 다양한 사례를 살펴본다. 아프리카의 사회가치투자 모델을 통한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 증진 사례를 포함, 남아시아의 사회적 기업을 통한 무형문화유산의 창의적 계승 사례, IT 혁신 기술과 온라인 플랫폼 환경에 대해서는 물론 유네스코의 세계유산과 지속가능한 관광프로그램팀에서 추진하고 있는 오버더탑 서비스와의 협업사례를 통한 무형문화유산의 가치창출 및 인식제고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마지막 날인 10월 1일에는 무형문화유산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며 사흘간의 여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날 특별 세션에서는 무형문화유산에서의 청년들의 역할과 참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MZ세대들이 보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의 미래를 제시한다. 또한 창의 경제 시대의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시장전략, 지역형 공정무역의 필요성, 그리고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전략도 살펴본다.



특히, 30일은 부대행사로 <2021 무형유산 청년 써밋 (2021 ICH Youth Summit)>이 개최된다. 아태지역을 포함한 20여개의 국가에서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 활동에 앞장서고 있는 무형유산 청년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무형문화유산의 창의적인 보호와 계승 방안을 논의하고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무형문화유산 청년포럼>을 공식 출범시킬 예정이다.



본 포럼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문화재청,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그리고 전주MBC 유튜브 채널과 메타버스에서 생중계된다.



포럼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2021 세계무형문화유산포럼」에 참가할 수 있다. 참가 접수는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포럼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포럼 사무국(ichworldforumteam@gmail.com, T:063-230-9746)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