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강연과 회의

무형유산 고등교육 웨비나

  • 작성일2024.01.19
  • 분류2020

코로나19 시대 무형유산보호와 대학교육



세션 1


아시아태평양지역 무형유산보호와 코로나19


2020 6 18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사회 전반이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무형유산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는 무형유산의 대중적 표현과 향유의 일시적 중단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공연예술과 전통공예에 종사하는 보유자와 전승자들은 생계에 큰 타격을 받았다. 웨비나 첫 번째 세션은 세계적 위기 상황에서 무형유산보호와 전승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웨비나프로그램 및 발표자

개회식(17:00-17:10)

환영사: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금기형 사무총장
개회사: 유네스코방콕사무소 즈엉빅한 문화팀장

사회: 김보람(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전문관) 좌장: 사이퍼 라시드(다카대학교 교수)

17:10-17:25

발표1: 코로나19의 무형유산보호와 전승에의 영향
(
줄리엣 홉킨스, 유네스코 무형유산과 전문관)

17:25-17:40

발표2: 코로나19시대, 홍콩 라이치우 커뮤니티 전통유산의 역할
(
안나 야우, 홍콩대학 연구원)

17:40-17:55

발표3: 코로나19 대유행 속 싱가포르 무형유산 보호 경험
(
커크 시앙 여, 싱가포르 국립문화유산위원회 과장)

17:55-18:10

발표4: 기회로서의 재난
(
크리스토퍼 발라드, 국립호주대학 교수)

18:10-18:25

발표5: 티에르/텐가오: 본토크산 강제휴식의 의미: 코로나19 대유행의 맥락에서
(
에릭 제라두, 필리핀산토토마스대학 교수)

18:25-19:00

질의응답

 


세션 2


아시아태평양지역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문화유산 교육 무형유산보호와 코로나19


2020 7 2


본 세션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학의 문화유산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아시아태평양지역과 유럽에서의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문화유산 교수 모델, 교육 설계, 학습 방법 등을 모색하여 미래의 교육 및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방향, 교육 자료 준비, 교육 및 학습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웨비나프로그램 및 발표자

개회식 (17:00-17:10)

개회사: 동위, 아시아 문화유산관리 아카데미(AAHM) 대표

사회: 김보람(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전문관) 좌장: 함한희(전북대 명예교수)

17:10-17:25

발표1: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의 무형유산 페다고지
(
닐까말 샤파가인, 아메다바드대학 교수)

17:25-17:40

발표2: 문화유산 교육에서 핵심 지식 요건과 실천으로서 무형유산 교육을 위한 도전과제와 기회
(
크리스탈 버클리, 호주 디킨대학교 교수)

17:40-17:55

발표3: 건축학과 학생들의 지역문화유산 이해를 위한 기록물과 서술기법
(니킬 조쉬, 국립싱가폴대학 교수)

17:55-18:10

발표4: 문화유산과 코로나19: 새로운 형태의 회복탄력성 위한 디지털 기술
(다닐로 페체, 이탈리아 튜린폴리텍대학교 박사후연구원)

18:10-18:25

발표5: 코로나19 대유행 속 무형유산의 창조적인 변형과 혁신적 발전
(진 지앙보, 상하이대학교 교수)

18:25-19:00

질의응답

 

세션 3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고등교육 네트워크유럽,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태지역


2020 7 30


무형유산 웨비나 시리즈의 세 번째 세션은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고등 교육 기관 간의 협력 및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세션은 전 세계 여러 지역의 네트워크 활동 현황,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유산의 전승 수단으로서 무형유산 연구를 위한 기능적 연결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웨비나프로그램 및 발표자

20:00 ~ 20:15

환영사: 아드리아나 모나로 아레나스
유네스코남미무형유산센터(CRESPIAL) 사무총장

좌장: 마리아 프릭 유네스코몬테비데오사무소 전문관

20:15~20:30

크리스티나 오르테가 누에르, 카탈루냐우르타대학 교수, 유럽예술행정네트워크(ENCATC) 전임 소장
발표: 유럽 지역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고등교육 네트워크

20:30~20:45

제이콥 마파라, 평생교육 개발 연구소장 대리, 친호이공과대학 교수
발표: 남아프리카 무형유산 보호 고등교육 네트워크

20:45~21:00

모니카 과라글리오, 아베야네다대학UNDAV(아르헨티나) 교수, 라틴아메리커 및 카리브해 무형유산 학술협력네트워크(ReCAPCILAC) 대표
발표: ReCAPCILAC :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협력 경험

21:00~21:15

몬티라 호라양구라 우나쿨,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문화전문관

발표: 아태지역 유산 관리 및 무형문화유산 보호 고등교육 네트워크

21:15~21:30

질의응답


세션 4


무형유산 교육 과정 개발 경험 및 도전과제-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지역


2020 8 12


본 세션은 무형유산 관련 교육 모듈과 커리큘럼 개발을 논의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우간다, 피지, 벨기에에서 무형유산 교육 과정 및 커리큘럼을 개발했던 경험과 도전과제를 공유하는 본 웨비나를 통해 대학에서 무형유산 관련 과목을 가르치거나, 가르칠 예정인 연구자와 교수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PROGRAMME AND SPEAKERS

(16:00-16:15)

환영사: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즈엉빅한 문화팀장
개회사: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금기형 사무총장

사회: 김보람(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전문관) 좌장: 이와모토 와타루(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연구센터 사무총장)

1(16:15- 16:30)

에밀리 드라니 우간다 크로스 문화재단 상임이사
발표: 무형유산 교육 과정 개발 경험-우간다 사례

2(16:30-16:45)

프란세스 코야 바카우타 오세아니아 예술·문화·태평양 연구 센터 소장, 남태평양대학 교수 (피지)
발표: 태평양 도서지역의 유산관리 역량 강화

3(16:45-17:00)

마크 제이콥스 앤트워프대학 교수 (벨기에)
발표: 유산학 석·박사 과정 개발 경험벨기에 사례

4(17:00-17:30)

질의응답 및 네트워크 회원기관 논평



QUICK MENU

QUICK MENU 원하시는 서비스를 클릭하세요!

등록된 퀵메뉴가 없습니다.